동물복제의 장점 부작용

Posted by 밥쏬
2016. 3. 30. 04:34 의학 생명


나랑 똑같은 인간이 있으면 기분이 어떨까요?

그 사람이 나랑 똑같이 생각하고 같은 것을 좋아하며 같은 패턴을

가지고 있다면 정말 무서울것같은데요.

인간복제는 윤리적 문제때문에 아직 시행되지 않았지만 동물복제는 여러건이

실행되었습니다.

특히 반려견에 대해 복제가 많이 이루어 지고 있는데

자신이 키웠던 개와 똑같은 개를 키우고 싶은 욕심때문인 것 같습니다.



복제동물의 시작은 1997년 복제양 돌리를 시작으로 발전해왔습니다.

난자의 핵을 제거한 후 체세포의 핵을 거기에 넣어서 전기충격을 주어 분화시키는

방법으로 시행되었는데요.

이로인해 체세포가 가진 DNA가 생명의 중심이라는 것을 일깨워주었죠.

그리고 이 조합된 난자를 대리모의 자궁에 이식하여 임신이 되면 성공입니다.



그렇게 된다면 복제된 동물과 원래의 동물은 완벽히 같은 외모를 가져야 하는데요.

쌍둥이만 보아도 일란성이라도 외모가 완벽하게 똑같지는 않습니다.

하지만 같은 유전자를 가졌는데도 다른 모습의 암컷들이 만들어졌습니다.

그 이유는 X염색체에 있는데 아시다싶이 암컷은 X염색체 두쌍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그 중 하나만 발현을 해 외모를 결정하게 되는데 다른 X염색체가 발현할 가능성이

존재한다는 것이죠.

이것으로 보아 완벽한 복제동물을 만들기에는 아직은 기술이 부족한 것 같습니다.

또한 복제동물의 유전자는 복제를 당한 동물의 유전자와 같아서

병에 걸려서 일찍 죽을 가능성이 큽니다.

같은 형질을 가졌기때문에 겉모습은 어리더라도 DNA의 나이는 복제당한 동물과 같은

것이죠.



하지만 앞으로 동물복제에 대한 연구는 더 활발히 이루어질것같습니다.

현재로서는 체세포와 난자가 필요한데 그것없이도 복제가 가능하게 될 것입니다.

그로인해 멸종한 동물이나 멸종위기의 동물들을 되살려 내는데 큰 힘이 될 기술입니다.

또한 반려동물을 사랑하는 사람들에게도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완벽히 똑같지는 않지만 키우던 반려견이 죽었을때 같은 성질을 가진 복제동물을 다시

키울 수 있기 때문입니다.




2016/03/28 - [의학 생명] - 무성생식과 세포분열 자기 복제하는 생물들


2016/03/29 - [의학 생명] - 에볼라 및 바이러스의 원인 박쥐


2016/03/26 - [의학 생명] - 스스로 죽음을 택한 동물 이유가 뭘까?